화재가 발생하는 물질에 따라 유형별로 구분을 알아보자.
화재는 불에 타는 물질로 A,B,C,D,K 형으로 구분한다.
A형 나무, 종이, 플라스틱등 일반 가연물에 불이 붙은 화재이며 물로 진화가 가능하다.
B형 기름에 불이 붙은 경우로 주유소 화재나 탱크 전복사고등이 해당된다. 산소를 차단채 진화해야 하며, 이산화탄소나 분말소화기가 적합하다.
C형 전기화재로 누전, 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이다. 물로 진화를 시도할 경우 감전위험이 있다.
D형 철분, 마그네슘, 칼륨등 금속에 의한 화재이며 아리셀 화재같은 리튬 배터리 발화가 여기에 해당된다. 금속화재 전용소화기를 사용해야 한다.
K형 주방에서 일어나는 화재로 동,식물성 기름에 불이 붙어 발생하는 화재이다.
소화기는 화재 발생 시 매우 중요한 안전 장비입니다. 장소별로 적합한 소화기 종류
1. **주거 공간 (가정)**:
– **ABC 소화기**: 대부분의 가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고체, 액체, 전기)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2. **주방**:
– **K 소화기**: 기름이나 지방 화재에 특화되어 있어 주방에서 유용합니다.
– **ABC 소화기**: 주방에서도 일반적인 화재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3. **차량**:
– **B 소화기**: 차량의 연료 화재 및 기타 화학 물질 화재에 적합합니다.
4. **사무실**:
– **ABC 소화기**: 종이, 전기, 기타 일반 화재에 모두 대응할 수 있어 사무실에 적합합니다.
5. **창고 및 산업 현장**:
– **BC 또는 ABC 소화기**: 다양한 종류의 화재를 다룰 수 있어 유용합니다. 특히 화학 물질을 다루는 곳에서는 특별히 해당 물질에 맞는 소화기를 선택해야 합니다.
각 장소의 특성과 화재의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한 소화기를 구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화기를 설치한 후에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유지 관리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